챗 GPT(ChatGPT) 4.0의 그전 모델과의 사용 상 차이점과 규제 정보에 관한 글입니다. 세상의 이슈가 되고 있는 챗 GPT를 바라보는 시각은 국가와 기업 별로 다릅니다.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또한 어떤 규제를 가하고 있는지 본문에서 알아봅시다.
< 목 차 >
- 챗 GPT(ChatGPT) 4.0의 주요 특징
- 챗 GPT(ChatGPT)가 고도화된다면 우리의 직업은?
- 챗 GPT(ChatGPT)의 규제 정보
챗 GPT(ChatGPT) 4.0의 주요 특징
챗 GPT 4.0 발표 시 돌에 묶인 풍선의 이미지를 주면서 질문을 했습니다. 풍선의 줄을 자르면 어떻게 될지를 물어봤습니다. 챗 GPT 4.0의 대답은 풍선이 하늘로 날아가 버린다고 대답을 했습니다.
이는 챗 GPT 4.0은 이미지도 인식을 한다는 것입니다. 앞으로의 자료에 이미지까지 학습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이는 그동안 습득한 엄청난 양의 데이터와 더불어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생각됩니다.
챗 GPT 4.0은 사실에 입각해서 답변할 수 있는 능력이 전모델 보다 약 40% 정도 증가 되었으며, 메모리가 확대되어 50페이지 정도의 양을 기억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언어 25개의 지원이 이루어졌습니다.
단계 | 시기(년) | *매개변수(개) | 주요기능 | . | |
ChatGPT-1 | 2018 | 1억 1700만 | 문장 의미 유사도 판단, 분류 | ||
ChatGPT-2 | 2019 | 15억 | 번역, 작문, 대화 | ||
ChatGPT-3 | 2020 | 1750억 | 간단한 코딩, 보다 자연스러운 대화, 요약 생략된 텍스트 삽입 등 |
||
ChatGPT-4 | 2023 | 1조 이상 추정 | 이미지 이해, 다양한 스타일의 어조 설정가능 맥락에 대한 기억력 상승 등 |
*매개변수: AI가 학습할 수 있는 데이터 양 단위
이번 챗 GPT4.0은 미국의 변호사 시험에서 10% 안에 들었다고 합니다. 수많은 언론은 스탠퍼드의 학부생과 같은 수준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현제 GPT4.0은 월 20달러의 비용으로 구독을 하면 좀 더 빠른 속도로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는 노멀 모드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GPT3.5 또한 이용이 가능합니다. 여러 가지 옵션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챗 GPT(ChatGPT)가 고도화된다면 우리의 직업은?
앞서 언급했듯이 챗 GPT를 포함한 AI기술이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서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에 대한 분야는 그래픽 관련 분야, 금융 애널리스트, 교사등 교육가, 기자를 포함한 콘텐츠 크리에이터, 낮은 수준의 코딩 설계 엔지니어등 사무직에 있는 그룹군에서 많은 우려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생산직에 종사하고 있는 분야의 직업들은 비교적 영향을 덜 받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류의 역사를 볼 때 1차 ~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날 때마다 이러한 우려는 계속해서 제기되어 왔습니다. 그때마다 그에 더 많은 일자리는 재창출되었고 그런 기술들은 세상에 맞게 사용되어 왔습니다.
변화의 시기에 있기는 하지만 늘 그랬듯이 안정화되고 적응하면 그렇게 자리잡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챗 GPT(ChatGPT)의 규제 정보
이탈리아에서는 개인정보들의 이유로 챗 GPT의 접속을 잠정적으로 차단했습니다. 이에 다른 유럽국가들도 규제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프랑스와 아일랜드 당국도 챗 GPT의 차단의 근거등을 이유로 이탈리아와 접촉하고 있습니다.
다음 기업들의 입장은 미국의 기업 아마존에서는 AI챗봇 질문 시 자사의 프로그램 소스코드는 입력제한을 하고 있고 일본의 소프트 뱅크에서도 회사 기밀 정보 입력 중단을 통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요 월가 은행에서는 챗 GPT사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의 상황입니다. 먼저 삼성전자에서는 보안 유출사고로 업무 활용기준을 재정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임직원을 대상으로 챗 GPT 사용 관련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포스코 같은 경우에는 사내 인트라넷에서 챗 GPT를 이용하고 있지만 SK하이닉스는 인트라넷으로 챗 GPT사용을 금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시 사전허가가 필요합니다. LG디스플레이에서는 사내 보안 관련 캠페인과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챗GPT 홈페이지 사이트 가입, 어플정보
챗GPT 홈페이지와 사이트 가입과 어플정보에 대한 글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투자한 Open AI사가 만들어낸 챗GPT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한다면 유용한 내용입니다. 정식 명칭은 ChatGPT입니
jangsujoker.tistory.com
댓글